안녕하세요 포순/포돌 여러분~~
지난 포스팅에서 IATA 국가 CODE에 대해 알려드렸죠? 이번에는 국가별로 구분하여 요금을 측정하는 IATA 국가 구분을 해보겠습니다!
무역 IATA CODES (tistory.com)
무역 IATA CODES
수출 수입을 하시는분들은 BL상 국가입력을할때 IATA코드를 입력합니다. IATA CODE는 각 국가의 공항코드를 3글자로 표현을 하는데요, 주로 여행가실때 항공권 티켓에서 많이 보실거예요. 인천은 3CO
logistics-olive.tistory.com
IATA 지역 구분 확인 방법 (TC1, TC2, TC3)
IATA의 지역 구분은 주로 항공업계에서 사용이 되며, 항공 수요의 증가로 편의상 세계를 TC1,TC2,TC3로 구분하였습니다.
주로 FSC 및 여객/화물 운임의 요금 규정 결정에 고려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항공사마다 FSC 운임이 다르고, 많으면 일년에 4번정도 바뀌는 경우도 있어요. 그래서 AF측정시 빼놓을 수 없는게 바로 FSC랍니다!
보통 FSC 확인 시 IATA 1 과 2가 동일한 운임인 경우가 많아요.수출/수입하여는 국가의 구분표를 보시면서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 확인해보세요!
◆ TC1-A: North Amercica (Mexico, excluding Latin America)
◆ TC1-B: Latin America (excluding Mexico)
◆ TC2 - A (Europe, Southwest Pacific)
◆ TC2 - B (Middle East, Africa)
◆ TC3 - A (India, Bangladesh, Nepal, Sri Lanka, Maldives)
◆ TC3 - B (Asia other then IATA 3 - A) - Korea/Japan, South East Asia, South Asia Sub Continent, South West Pacific
궁금하신것은 댓글달아 주시고, 다음 포스팅에선 항공 운임 산출 계산법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그럼 이번 포스팅은 여기서 이상!
'무역실무 및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초 컷 신입을 위한 메일 쓰는 방법[영어편] (1) | 2024.02.11 |
---|---|
MSDS란 무엇일까? - DG 화물 (0) | 2024.02.02 |
인코텀즈2020 (INCOTERMS) 정형거래조건 (0) | 2024.01.26 |
EORI 란 무엇일까? EORI가 없을 경우 대체 방안! (1) | 2024.01.24 |
항공운송 volume weight( v.w) 구하는 법 (0) | 2024.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