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FTA 원산지 증명서 (Certificate of Origin) 확인법

by Travel with Jinny 2024. 2. 17.
728x90

포순, 포돌이 여러분!  이번 시간에는 원산지 증명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들 한번쯤 들어보셨을거라 생각합니다.

원산지 증명서란?

FTA(자유무역협정) 원산지 증명서는 특정 상품이 어느 국가에서 생산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문서입니다. 자유무역협정은 두 나라 간 또는 더 많은 국가 간의 무역을 촉진하기 위해 체결된 협정으로, 이 협정에 따라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상품은 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FTA 원산지 증명서는 특정 상품이 협정 국가에서 생산되었거나 가공되었음을 입증하는 문서로, 주로 수입국의 관세 당국에 제출됩니다. 이 증명서에는 상품의 생산 과정, 재료 출처, 가공 과정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수출자가 상품을 수출할 때 FTA 협정의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이 증명서를 수입국에 제출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FTA 원산지 증명서는 협정 국가 간의 무역을 원활하게 하고 무역 비용을 절감하는 데 도움이 되며, 수출자와 수입자 모두에게 중요한 문서입니다. 이 문서를 통해 상품이 협정 국가에서 생산된 것으로 인정되면, 관세 감면이나 면제, 그리고 기타 무역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원산지 증명서 확인 법

원산지 증명서 보는 법

 1. 쉬퍼 정보 및 주소
2.컨사이니 정보 및 주소
3. 항편 스케줄 및 도착지 POD
*Referemce. No : 관세 혜택 서류
5. 수량
6.PLT 수량
7. 화물 정보- HS코드 및 아이템  -> HS 코드에 따라 관세 혜택이 다르게 적용
9. 중량
10. 인보이스
12. 파란 색 부분은 ETD 와 동일하나 다른 경우도 있음. (다른 경우 ETD 보다 빠른것이 좋음)

 

이번 포스팅에서는 CO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어 보았는데요,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이번 포스팅 마무리 하겠습니다.

반응형